오늘부터 코로나 출입명부에 전화번호 대신 개인안심번호를 이용하게 되었다고 하는데요. 출입명부를 수기로 작성하는 경우, 전화번호가 다른 사람들에게 노출될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이런 일들이 일어나기도 했었죠. 개인 안심번호는 암호화된 가상의 번호로, 필요할 때 관련 기관을 통해서만 연락처 조회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따라서 오늘은 개인안심번호를 발급 받는 가장 쉬운 방법을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개인안심번호는 네이버와 카카오톡, 패스(PASS) 어플을 통해 만들 수 있는데요. 가장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네이버와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만약 네이버와 카카오톡을 이용하지 않는다면 패스 어플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네이버로 개인안심번호 만들기
네이버 어플에 들어가면 메인 화면의 [QR체크인]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를 누르고 네이버 휴대전화 인증을 하면 QR코드와 함께 개인안심번호가 발급됩니다. 이 개인안심번호를 전화번호 대신 출입명부에 기입하면 됩니다 개인안심번호는 개인의 고유 번호로, 발급기관이 달라진다고 해도 변경되지 않는데요. 따라서 매번 안심번호를 확인하는 일이 번거롭다면 암기하거나 기록하여 다니셔도 괜찮습니다. 매번 QR 코드 화면을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것인데요.
한 번 휴대폰 인증을 완료하면 별도의 절차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때문에 평소 네이버 어플을 자주 이용하는 분이라면 터치 한 번으로 쉽게 개인안심번호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평소 네이버를 이용하지 않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 이럴 때는 꼭 네이버 어플을 설치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카카오톡으로 개인안심번호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인데요. 다음은 이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카카오톡으로 개인안심번호 만들기
[1] 카카오톡의 #코로나19에서 QR체크인을 찾아주세요.
#코로나는 카카오톡 메신저 아래의 #을 누르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채팅 아이콘 오른쪽에 위치해 있으므로 확인 바랍니다.
[2] 개인정보 동의와 휴대폰 인증을 해주세요.
카카오톡도 네이버처럼 한 달에 한 번 인증을 하면 지속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이때 개인안심번호는 앞서 말씀드린 대로 개인 고유의 번호인데요. 때문에 매번 QR 코드 체크인 화면을 확인하는 게 번거롭다면 암기하거나 기록하여 다니셔도 무방합니다.
이렇게 절차를 완료하면 QR코드와 함께 개인안심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방문하는 기관이 QR 인증을 지원한다면 이를 통해 체크인을 하시면 됩니다. 다만 소상공인 분들이 운영하는 카페나 식당의 경우에는 QR 출입 인증이 쉽지 않은데요. 이처럼 수기로 출입 명부를 작성하는 지점에서는 전화번호 대신 개인안심번호를 기입하면 됩니다.
개인 안심번호는 휴대전화번호를 무작위로 변환하여 한글 2자리와 숫자 4자리로 조합됩니다. '12가34나' '34다12라'가 바로 개인안심번호인데요. 때문에 이 번호를 통해 연락을 하거나 연락처를 알아내는 행위들은 불가능합니다. 오직 방역기관의 적법한 필요에 의해서만 연락처 조회가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따라서 개인안심번호를 사용한다면 타인에게 전화번호가 유출되는 등 원치 않는 문제로부터 안전할 수 있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위터 주가 폭락 이유는 무엇일까? (0) | 2022.07.12 |
---|---|
망종 날짜 의미 음식 (0) | 2021.06.01 |
얀센 국내 도입, 백신 대상은? (0) | 2021.05.30 |
다 먹고 환불 요구한 목사 모녀 (통화 녹취 포함) (0) | 2021.05.29 |
옹성우 출연확정 <커피 한잔 할까요?> 방송일정 (0) | 2021.05.27 |
경기도민 2차 재난지원금 신청하는 법 (0) | 2021.02.07 |
5인 이상 집합 금지, 가족모임은? (예외 포함) (1) | 2021.02.07 |
백종원X방탄소년단 K-햄 (한돈농가에 도움이 되는 이유) (0) | 2021.01.30 |
댓글